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예언타당도와 동시타당도의 개념 및 예시 알아보기

반응형

예언타당도 및 동시타당도의 개념 및 예시 알아보기

 

예언타당도와 동시타당도: 심리검사 결과의 신뢰성에 대한 이해

 

서문

심리검사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이해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검사 결과의 신뢰성은 항상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예언타당도와 동시타당도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이 심리검사 결과의 신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예언타당도 (Predictive Validity)

예언타당도는 검사의 점수를 가지고 다른 준거점수들을 얼마나 잘 예측해 낼 수 있는가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검사 결과가 실제 사건과 얼마나 일관성 있게 연관되는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직업성향 검사가 특정 직업에서 성공할 확률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그 검사는 높은 예언타당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시

적성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일수록 입사 후 업무 수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면, 해당 검사는 예언타당도가 높다고 평가될 수 있습니다.

 

동시타당도 (Concurrent Validity)

동시타당도는 심리검사 결과와 이미 알려진 변수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심리검사 결과가 이미 알려진 변수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동시타당도를 통해 심리검사가 현재 시점에서 정확하게 개인의 특성을 측정하는 데 얼마나 유용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예시

영어 면접시험의 타당도를 입증하기 위해 동시 실시된 TOEIC 등 공인 용어시험의 점수와 비교하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