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이디어 개발의 방법: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알아보기

반응형

디자인씽킹 알아보기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에 대한 모든 것

 

개념

디자인씽킹은 디자이너들이 문제 해결에 사용하는 창의적인 사고와 방법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접근법입니다. 사용자 중심의 관점을 갖추고 문제를 바라보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실현하는 과정으로, 혁신과 창의성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방법론입니다.

 

기원

디자인씽킹은 스탠포드 대학의 디자인 및 경영학 교수인 데이비드 켈리(David Kelley)와 팀 브라운(Tim Brown)이 이끄는 디자인 컨설팅 기업 IDEO에서 개발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디자인 분야에서 문제 해결에 활용되다가, 이후 전략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에 널리 적용되었습니다.

 

원칙

사용자 중심(User-Centered)

사용자의 Bed Needs와 Real Needs를 이해하고, 사용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봄으로써 해결책을 도출합니다.

 

공동 작업(Collaborative)

다양한 관점과 전문성을 가진 참가자들과 함께 협력하여 창의적인 해결책을 발굴합니다.

 

반복(Iterative)

단계를 반복하며 점진적으로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프로토타입을 통해 검증하고 개선합니다.

 

시각화(Visualize)

복잡한 문제와 아이디어를 시각화하여 이해를 돕고, 창의적인 발상을 촉진합니다.

 

단계

공감하기(Emphasize)

사용자가 놓여진 상황, 문화적 환경 등을 전범위적으로 함께 느끼고 공감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관찰과 인터뷰 등이 진행되고, 이를 기록하고 분석하는 문화기술적 분석을 포함한 사용자-중심 연구기법을 활용합니다. 

 

문제 정의하기(Define)

공감하기 단계에서 얻은 다양한 의견들 속에서 리얼하고, 가치있고, 영감을 주는 문제를 찾아내는 단계입니다. 

 

아이디어 도출(Ideating)

찾아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많은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단계입니다. 다양한 아이디어 도출 방법과 여러 가지의 아이디어의 정렬방법 - 스케치하기, 브레인스토밍, 마인드 매핑, 스캠퍼 - 중 우리 팀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방법을 선택하여 아이디어를 도출합니다. 

 

시제품 제작(Prototype)

디자인 컨셉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 디자인 결과물이 동작하게 될 환경과 동일한 상황에서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단계입니다. 프로토타입은 잘 구현되거나 일부만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때 중요한 것은 기본적인 경험의 흐름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테스트하기(Test)

완성된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실제 동작을 하는지, 본인의 아이디어가 구현 가능한지를 테스트해보는 단계입니다. 실제로 일반 기업에서는 시제품에 가까운 목업(mockup)을 제작한 후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장점

창의성 촉진

참가자들의 창의적인 사고와 관점을 유도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합니다.

 

사용자 만족도 향상

사용자 중심의 접근으로 인해 제품과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능력 강화

복잡한 문제를 단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팀 협업 강화

다양한 전문성을 갖춘 팀원들이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단점

시간과 비용

디자인씽킹은 반복적이고 참여자들의 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구현 난이도

발굴된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하는 단계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과정 복잡성

단계적인 과정과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디자인씽킹은 문제 해결과 혁신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발전되고 있습니다. 사용자 중심의 관점과 참가자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촉진하는 이러한 방법론은 현대 사회에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