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인지이론(SCCT)의 3가지 영역모델 알아보기

반응형

사회인지이론(SCTT) 3가지 영역모델 알아보기

 

사회인지이론(SCCT)의 3가지 영역모델 이해하기

 

소개

사회인지이론(SCCT;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은 직업선택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사회인지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입니다. SCCT는 개인의 흥미, 선택 및 수행에 관련된 인지요인들을 중심으로 한 세 가지 영역모델을 제시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CCT의 흥미모형, 선택모형, 그리고 수행모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흥미모형

흥미는 결과기대, 자기효능감과 함께 목표를 예언하고 수행 결과로 이어집니다.

SCCT의 흥미모형은 개인의 흥미가 직업선택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기반으로 합니다. 흥미는 결과기대와 자기효능감과 함께 직업목표를 예측하고 이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수행 결과에 이어집니다. 개인이 특정한 직업이나 활동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있다면, 그 직업이나 활동을 선택하고 발전시키는 데에 더 큰 동기와 열정을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선택모형

성별, 인종, 성격 등의 개인차에 환경이 학습경험에 영향을 주고, 학습경험이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영향을 줍니다.

SCCT의 선택모형은 개인의 성별, 인종, 성격 등과 같은 개인차이가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개인의 학습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경험이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제시합니다. 개인의 개인차이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직업선택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개인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직업이 특정 성별이나 인종에 대해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성별이나 인종의 개인들은 해당 직업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더 높게 형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수행모형

목표를 추구함에 있어 어느 정도 수준으로 수행할지, 그리고 어느 정도 지속할 것인가를 예측합니다. 과거의 수행성취도는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영향을 주고 이것이 수행목표에 영향을 주어 최종적으로 수행수준을 이끕니다. 

 SCCT의 수행모형은 개인이 직업목표를 어느 수준으로 추구하고 얼마나 지속할지를 예측하는데 초점을 둡니다. 이 모형은 개인의 과거 수행성취도가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에 영향을 주고, 이들이 개인의 수행목표에 영향을 미치며, 최종적으로 개인의 수행수준을 결정한다는 가설을 제시합니다. 과거의 성취 경험은 개인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개인의 직업목표를 설정하고 추구하는 데에 영향을 줍니다.

 

 

결론

사회인지이론(SCCT)은 흥미모형, 선택모형, 수행모형을 통해 개인의 직업선택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요인들을 설명합니다. 흥미모형은 개인의 흥미가 직업 선택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설명하며, 선택모형은 개인의 개인차이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제시합니다. 또한, 수행모형은 개인의 과거 수행성취도가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형성하고, 이들이 개인의 수행목표와 수행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중점을 둡니다. SCCT는 개인의 직업선택과 진로발달에 대한 인지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이론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